프러덕트매니저/조직해부일지2 커뮤니티라고 믿고 있지만, 사실은 아무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우리는 습관 형성을 위한 커뮤니티 앱을 만든다고 했다.단순한 채팅 기능이 아니라, 사람들이 모여 상호작용하며 동기를 얻고, 지속적으로 함께하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했다.그런데 지금의 구조는 과연 커뮤니티라 부를 수 있을까?무엇이 문제일까?1. 상호작용의 단절현재는 오피셜 채팅방만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채팅방을 개설할 수 없다.이는 사용자가 '함께할 대상'을 스스로 찾거나 조직할 수 없다는 뜻이다.또한, 누군가가 내 댓글에 반응해도, 좋아요를 눌러도 해당 댓글로 이동할 수 없고,해당 채팅방으로 진입조차 되지 않는다.알림을 눌렀을 때 메인 화면으로 연결되는 현재 구조는 상호작용의 맥락 자체를 지워버린다.결국 내가 남긴 말에 누가 반응했는지, 어떤 맥락에서 반응했는지조차 파악할 수 없다.커뮤니티.. 2025. 4. 22. 왜 배포가 반복적으로 지연되는가 1. 우리 팀의 상황- 매주 월요일 배포, 1주 단위의 스프린트 원칙- 기능의 복잡도와 무관하게, 모든 기능을 1주 단위로 쪼개어 개발 후 배포- 기능이 복잡하거나 고려사항이 많은 경우에는 QA 단계에서 문제 가능성이 높아짐, 결국 배포는 월요일에서 화요일, 혹은 수요일로 밀리는 일이 반복되고 있음- QA 문서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배포 직전에 테스트 요청이 오고, QA 문서를 작성할 시간도 없이 테스트 후 곧바로 배포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음2. 무엇이 문제일까?1) 일정과 현실 사이의 괴리기능의 복잡도와 관계없이 모든 개발을 1주 단위로 끊고 있는 현재의 일정 구조는 현실과 맞지 않는다.월요일에 배포를 하려면, 개발은 화~목요일에 집중되어야 하고, 금요일에는 QA, 이후 월요일에 최종 배포로 이어지는 .. 2025. 4.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