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출시 후 사용자 반응을 확인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며, 다음 단계를 계획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이때 활용하는 방법이 **서비스 출시 후 회고(Retrospective)**이다.
1. 서비스 출시 후 회고란?
서비스를 출시한 후,
- 무엇이 잘되었는지(What went well)
- 어떤 점이 부족했는지(What didn’t go well)
- 다음 단계에서 개선할 점(What to improve)
을 정리하는 과정이다.
왜 회고가 중요한가?
-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 성공적인 요소를 다음 프로젝트에도 적용하기 위해
- 팀원 간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협업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회고를 통해 팀이 성장하고,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2. 회고를 진행하는 방법
1)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출시 후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확인해야 한다.
- 사용자 유입 및 활동 데이터(DAU, MAU)
- 서비스 안정성(장애 발생 여부, 오류 로그)
- 주요 지표(전환율, 이탈률, 유지율)
예시
- 회원가입 전환율이 기대보다 낮음 → 온보딩 개선 필요
- 특정 기능 사용률이 예상보다 높음 → 핵심 기능으로 강화 가능
2) 사용자 피드백 분석
- 고객센터, 리뷰, CS 문의 데이터 확인
- SNS 및 커뮤니티에서의 반응 분석
예시
- 결제 과정이 복잡하다는 피드백 다수 발생 → UX 개선 필요
- 특정 기능에 대한 긍정적인 리뷰 많음 → 추가 개발 고려
3) 팀 회고 진행
팀원들과 함께 무엇이 좋았고, 무엇이 부족했는지 논의하는 회고 미팅을 진행한다.
대표적인 회고 방식
방식설명
Start, Stop, Continue | 시작할 것, 멈출 것, 계속할 것 정리 |
Glad, Sad, Mad | 좋았던 점, 아쉬운 점, 개선할 점 논의 |
4L(Like, Learn, Lacked, Longed for) | 좋았던 점, 배운 점, 부족했던 점, 개선하고 싶은 점 정리 |
예시
항목내용
잘된 점(What went well) | 서버 안정적으로 운영됨, 핵심 기능 반응 좋음 |
부족했던 점(What didn’t go well) | 출시 일정이 촉박해서 QA 부족, CS 대응 프로세스 미흡 |
개선할 점(What to improve) | 다음 출시 전 QA 기간 확보, 사용자 피드백 반영 시스템 개선 |
4) 개선 및 다음 단계 계획
회고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 다음 업데이트에서 개선할 점
- 새로운 목표 및 우선순위
를 설정한다.
예시
- 이탈률 감소를 위해 가입 프로세스 개선
- 결제 UX를 단순화하여 사용자 경험 개선
- 장애 대응 프로세스 정비
3. 회고를 할 때 주의할 점
1) 비난이 아니라 개선을 위한 논의여야 한다
"누가 실수했는가?"가 아니라 **"무엇이 부족했고,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가?"**를 논의해야 한다.
2) 데이터 기반으로 논의해야 한다
감정적인 의견이 아니라, 사용자 데이터, 피드백을 기반으로 논의해야 한다.
3) 실행 가능한 개선안을 도출해야 한다
회고만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실행 계획을 세워야 한다.
서비스 회고는 성장의 시작이다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려면 출시 후 데이터를 분석하고, 팀과 함께 회고를 진행하며,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 출시 후 데이터와 피드백을 분석하고
- 팀과 함께 회고 미팅을 진행하며 문제점을 논의하고
- 다음 단계를 위한 실행 가능한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더 나은 서비스, 더 강한 팀이 될 수 있다.
( 회고를 하게 된 이후부터는 내가 부족한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소득이었다. 내가 부족한 부분은 한번만 드러나지 않고, 여러번의 프로젝트를 통해 자주 드러나는 부분이더라. 하지만 이 부분을 회고해논다고 해도 명확히 상기시키고 실행 가능해야만 직접적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함. 이전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비슷한 피드백을 받은 적이 있었다.. 나는 신경써서 한 부분이었는데ㅠㅠㅠ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면, 할 줄 아는 부분보다는 수배로 노력해야 중간은 가는 것 같다... 화이팅.
프로젝트에 대한 회고를 개인적으로 진행했는데 다음에는 팀 회고를 하는 곳에 소속되고 싶다.
프로젝트를 놓고 함께 논의하는 환경에 가고 싶다.
뭘 잘했는지, 어떤 실수가 있었는지, 뭘 좀 더 했어야했는지 등등... 좋은 서비스를 만들어가기 위해 모인 사람들이 회고를 하는 빛나는 자리에 참여하고 싶다. )
'프러덕트매니저 >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A(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 구조) (0) | 2024.12.03 |
---|---|
MVP(최소 기능 제품): 빠르고 효율적인 제품 개발 전략 (0) | 2024.11.21 |
AARRR 모델: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흐름을 단계별로 분석하는 방법 (0) | 2024.11.17 |
그로스해킹(Growth Hacking): 빠르고 효율적인 성장 전략 (0) | 2024.11.12 |
저니맵(Journey Map)이란? (0) | 2024.11.11 |